반응형
서울시는 의료취약계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의료안심주택’을 공급합니다.
만성질환자, 홀몸어르신, 휠체어 사용자 등에게 병원 인접의 무장애·응급안전 환경을 제공합니다.
의료안심주택이란?
‘의료안심주택’은 병원 근처 또는 의료기관 인접 지역에 지어지는 무장애 설계 공공임대주택입니다. 응급호출 벨, 움직임 감지 센서, 상시 연락체계 등 안전 시스템이 포함되며, 월 저렴한 임대료로 높은 의료 접근성을 보장합니다.
공급 규모 및 입지
- 신내 의료안심주택: 18㎡ 92세대, 29㎡ 130세대 (총 222세대)
- 병원·보건소 등 공공의료시설 인접 위치 우선 선정
임대 조건
- 18㎡: 보증금 9,920,000원, 월 127,800원
- 29㎡: 보증금 15,500,000원, 월 211,000원
- 소득·자산 기준: 도시 근로자 평균소득 70% 이하, 자산 ≤ 3.37억 원
입주 대상과 자격 요건
의료안심주택의 주요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만 65세 이상 홀몸 어르신
- 고혈압·당뇨 등 만성질환자 (50~65세도 신청 가능)
- 휠체어 사용자 포함 의료 취약 계층 모두
설계 및 서비스 특징
- 무장애(barrier‑free) 구조 (턱 제거, 안전 손잡이 등)
- 실내 움직임 감지 센서, 비상벨 설치
- 서울의료원·보건소와 응급 네트워크 구축
- 경로당·건강교실·재활프로그램 등 커뮤니티 서비스 운영
신청 절차 및 일정
- SH공사 홈페이지 공고 확인 및 신청
- 서류 접수 및 심사 (소득·자산 요건 검증)
- 당첨자 발표 후 계약 및 입주
- ※ 신내 의료안심주택은 연 8월 공고 → 10월 입주 개시
결론: 의료안심주택, 병원 가까이 삶의 안전망
의료안심주택은 단순 임대가 아닌 의료 접근성과 안전망이 결합된 주거모델입니다. 병원 가까이, 복지와 복합 연계를 통한 생활 지원까지 제공합니다.
✅ 입주 전 꼭 챙겨야 할 3가지
- 자격요건 체크: 만성질환자 여부, 자산 및 소득 기준
- 응급 시스템 확인: 움직임 센서, 비상벨 설치 여부
- 지역 복지연계 서비스: 보건소·의료원, 복지 프로그램 경험
반응형
'💰 받을 수 있는 혜택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익산시 면 지역 저소득 재가노인 식사 배달 지원 사업 (2) | 2025.07.16 |
---|---|
익산시 면 지역 어르신을 위한 성인용 보행기 본인부담금 지원 (1) | 2025.07.16 |
익산시 면 지역 어르신들을 위한 ‘목욕비 지원 사업’ 안내 (1) | 2025.07.16 |
노인 실명 예방 관리사업 : 시력 상실 위험이 높은 시니어들을 위한 복지 정책, 확실한 총정리 (2) | 2025.07.15 |